금욕주의

Emaciated Siddhartha Fasting Gautama Buddha.jpg

금욕주의(禁慾主義, asceticism)는 정신에 속하는 것을 선(善)이라고 하며, 육체에 속하는 본능이나 욕구를 악의 근원, 또는 악 그 자체로 보는 견해에 바탕을 두어 육체적인 욕구·본능을 되도록 억제하는 것이 도덕에서는 본질적으로 중요하다는 관점이다.

극단적인 경우에는 금욕이나 고행(苦行), 그 자체도 선으로 보게 된다.

고대 금욕설을 주장한 스토아 학파에 유래하여 이를 스토이시즘이라고도 한다.

참고 문헌

  • Heckert GNU white.svgCc.logo.circle.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(현 카카오)에서 GFDL 또는 CC-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

외부 링크

  • EBS 5분 사탐 - 스토아학파의 금욕주의 - 유튜브
  • [ 금욕주의] ([禁慾主義, 영 asceticism, 독 Asketik]) - 노동자의 책 사전
  • v
  • t
  • e
주요 분야
응용 분야
학파
고대
중국
그리스-로마
인도
중세
유럽
동아시아
인도
  • 바이타
  • 신정리 학파
  • 비시슈타드바이타
이슬람
근대
인물
관념/물질
기타
현대
분석 철학
대륙 철학
기타
입장
규범성
미학
  • 형식주의
실재
존재론
인식론
지역별 철학
전거 통제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
국제
  • FAST
국가
  • 스페인
  • 프랑스
  • BnF 데이터
  • 독일
  • 이스라엘
  • 미국
  • 일본
  • 체코
  • 폴란드
기타
  • 이슬람 백과사전
Philosophy template.gif 이 글은 철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.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.